오늘은 에코프로비엠이라는 기업의 정보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아보면서 주가 분석도 진행하겠습니다. 코스닥 2차 전지 소재 기업 에코프로비엠이 압도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파른 성장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에코프로비엠은 2016년 코스닥 상장사 에코프로의 전지 재료 사업부가 물적분할해 설립된 회사이며 2차 전지 소재인 양극재를 생산하고 국내에서 유일하게 니켈코발트망간(NCM)과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2차전지 분야에서 상당히 큰 영향력 발휘중인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비엠은 니켈 함유량을 높인 하이니켈 양극 소재 기술을 확보했고 2차 전지는 니켈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전기차의 이동 거리가 늘어나며 초기 양극재인 NCM333은 니켈, 코발트, 망간 비중이 3대 3대 3으로,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는 124㎞이고 비중이 8대 1대 1인 NCM811은 한 번 충전으로 590㎞까지 갈 수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은 전고체 배터리용 양극재도 개발하며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폭발 가능성, 크기, 수명 등에서 단점이 있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해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을 대폭 보완합니다.
메리츠종금증권 측에서는 에코프로비엠은 니켈 88%까지 상용화했고 니켈 90%와 단결정 양극재 및 전고체 배터리용 양극재까지 개발 중이라며 경쟁사들은 아직 양산 기준 니켈 60%대에 머물러 있어 기술 격차가 상당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독보적 기술력에 힘입어 실적도 꾸준하게 성장하는 추세이며 별도 기준 매출은 2017년 2898억원에서 지난해 6160억원까지 증가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222억원에서 370억원으로 늘었으며 지난 1분기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677억원, 88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7.2%, 39.4% 감소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각각 13.8%, 441.8% 증가했습니다.
- 전반적인 에코프로비엠의 상황도 상당히 양호
재무 상황도 안정적이면서 2017년 157%인 부채비율은 2018년 189.3%까지 올라갔다가 지난해 75.7%로써 떨어졌고 또 단기차입금 의존도도 11.2%에 불과합니다.
코로나19 속에서도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며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올해 에코프로비엠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8212억원과 5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30%, 35.14%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고 지난해 말 완공된 포항 공장을 2분기부터 가동하면서 매출과 수익성이 좋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성장 잠재력도 주목받으며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2월 삼성SDI와 6대 4의 비율로 출자해 조인트벤처(JV)인 에코프로이엠을 설립했고 두 회사는 포항에 신공장을 건설해 NCA 양극재를 양산할 예정이며 같은 달에는 에코프로비엠은 SK이노베이션과 2조7000억원 규모의 NCM 양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 협력사와의 시너지도 기대되고 있는 에코프로비엠
삼성SDI와 현대차그룹 간 협력이 가시화되면 성장 추세는 더욱 가파를 것으로 기대되며 상상인증권 측에서는 향후에는 NCM811은 SK이노베이션에, NCA811은 삼성SDI에 납품될 예정이라며 공장 증설과 동시에 확실한 고객사를 확보해 다른 소재 업체 대비 탁월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증권 측에서는 현대차그룹이 향후 기존 배터리 외에도 삼성SDI의 원통형과 각형, 파우치형을 함께 사용하게 되면 에코프로비엠의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아래는 에코프로비엠의 월봉, 주봉, 일봉, 60분봉 주가 그래프이며 자료 분석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끔 하기 위해서 등락에 따라 값의 변동 상황을 담은 2020년 1월부터의 60분봉 심층자료도 담았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최근 급격히 등락하다 2차전지 테마로 인해 상승한 모습입니다. 윗글에서는 주가 분석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정리해서 업로드하였습니다. 여러 자료들을 잘 취합해서 정리하신 후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 에코프로비엠 주가의 키포인트는 2차전지
앞서 봤듯이 메리츠종금증권 측에서는 에코프로비엠은 니켈 88%까지 상용화했고 니켈 90%와 단결정 양극재 및 전고체 배터리용 양극재까지 개발 중이라며 경쟁사들은 아직 양산 기준 니켈 60%대에 머물러 있어 기술 격차가 상당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점을 주의깊게 눈여겨봐야 할 것입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릭스미스 주가 전망 (0) | 2020.05.27 |
---|---|
고려제약 주가 전망 (2) | 2020.05.26 |
DB하이텍 주가 전망 (0) | 2020.05.25 |
삼성전자우 주가 전망 (0) | 2020.05.24 |
한진칼 주가 전망 (0) | 2020.05.24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