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한미사이언스라는 기업의 리포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아보면서 주가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한미사이언스는 1973년 설립되어 2011년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승인받아 국내 회사의 사업 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합니다.
바이오 등 헬스케어 분야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여 이를 비즈니스 모델에 접목하는 사회지주회사로써 생물학적 의약품 등의 제조, 수출 및 판매업 등의 사업 또한 운영 중입니다. 아래는 한미사이언스의 재무분석 및 투자지표 리포트입니다.
한미사이언스의 최근 주목할 만한 동향에 대해서
한미사이언스의 최근 특이사항이라면 바이오 벤처기업 바이오앱과의 협력을 통해 그린 바이오 신약개발 플랫폼과 혁신적인 생산 공정을 전격 도입을 추진한다는 것입니다.
한미사이언스는 포항에 위치한 바이오앱과 양사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식물 기반 재조합 단백질 생산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신약개발 협력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바이오앱은 포스텍 연구교수를 역임한 손은주 대표가 창업한 바이오벤처이며 식물 기반 단백질을 활용해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 및 생산하는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포스코로부터 기술투자를 지원받고 있습니다.
바이오앱은 경상북도 포항에 GMP 인증 백신 공장 및 연구소 등 제조 및 연구 시설을 구축했으며 현재 자사 원천기술인 ‘그린백신’을 기반으로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미사이언스를 비롯한 한미약품그룹에 대해서
증권 측은 내년의 제약 및 바이오 산업에 대해 상반기에는 주요 학회 참여 기업이나 기술이전 기대감이 높은 기업들이 관심을 받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하반기에는 신약 마케팅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는 데다가 신규 상장 기업들이 다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기술이전에 대한 경상기술사용료(로열티)를 확인할 수 있는 것도 내년이며 내년 상반기 한미약품이 아테넥스와 스펙트럼에 기술이전했던 오락솔과 롤론티스의 미국 내 허가가 예상돼 하반기에는 매출 로열티 유입이 기대된다고 했습니다.
아래는 한미사이언스의 월봉, 주봉, 일봉, 60분봉 주가 그래프이며 자료 분석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등락에 따라 값의 변동 상황을 담은 2020년부터의 60분봉 심층자료도 담았습니다.
한미약품그룹의 지배구조에 대해서
한미약품그룹은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가 41.39%의 지분으로 한미약품을 지배하고 오너 일가가 한미사이언스를 지배하는 구조입니다.
임성기 회장 별세로 2세 경영을 앞두고 있는 한미약품그룹의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 주가가 이전에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한미사이언스 주가의 키포인트는 지배구조 및 로열티
한미사이언스 주가에 있어서 두 가지 요소가 키포인트입니다. 첫번째는 한미사이언스의 지배구조에 의하면 주력 계열사는 한미약품이라는 점입니다. 두번째는 최근 한미약품의 기술이전에 대한 경상기술사용료(로열티)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곧 이른 내년이라고 합니다.
글을 마치면서
투자에 있어서 더 많은 바이오주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바이오주 태그 영역을 확인해주시길 바라며 언제나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도 주가 전망 (0) | 2020.12.03 |
---|---|
경보제약 주가 전망 (0) | 2020.12.02 |
원익IPS 주가 전망 (0) | 2020.11.29 |
하나기술 주가 전망 (0) | 2020.11.28 |
두산솔루스 주가 전망 (0) | 2020.11.27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