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레고켐바이오이라는 기업의 리포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아보면서 주가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레고켐바이오는 2006년에 설립되어 201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의약화학을 기반으로 합성신약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레고켐바이오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직속 운영하는 한국화학연구원의 신종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CEVI융합연구단(정부출연 8개 연구기관 참여)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레고켐바이오는 치료제 부문 참여기업으로 함께 연구 진행
이에 따라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파스퇴르연구소, 한국한의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CEVI-319, CEVI-500 등 약 10종에 이르는 모든 저분자화합물 후보물질을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6월 9일에 발표했습니다.
레고켐바이오는 계약금을 지급하며 추가 비임상 실험을 진행한후 신속히 임상시험에 진입한다는 계획이지만 구체적인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도입대상 물질들은 코로나 펜데믹 발생 이전부터 CEVI융합연구단에서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하던 물질이며 레고켐바이오는 치료제 부문 참여기업으로서 그동안 함께 연구를 진행해 왔습니다.
상당히 높은 범용성과 수많은 데이터 확보 완료된 물질
해당 물질은 COVID-19를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비롯해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등에 대해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미 동물시험을 통해 우수한 약효 및 독성데이터가 확보되어 있는 상태라는 설명입니다.
레고켐바이오는 인비트로(in vitro) 실험에서 대상화합물 후보물질들이 최근 COVID-19 치료제로 허가된 ‘렘데시비르’ 대비 약효가 수십배에 이르는 결과를 확인했으며 다양한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가 있어 향후 추가적인 변이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회사는 효능과 약동학적(PK) 특징, 안전성 등을 고려해 후보물질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아래는 레고켐바이오의 월봉, 주봉, 일봉, 60분봉 주가 그래프이며 자료 분석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등락에 따라 값의 변동 상황을 담은 2020년 1월부터의 60분봉 심층자료도 담았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앞으로 신종플루처럼 토착회되는 전염병 될 가능성 매우 높은 상황
레고켐바이오 측에서는 2009년 발생한 신종플루(H1N1)가 그랬듯이 COVID-19는 전세계적으로 계절마다 혹은 계절과는 무관하게 토착화되는 전염병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습니다.
바이러스는 속성상 변이 또한 많이 일어난다며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도입한 후보물질은 동물실험 결과로 판단했을 때 변이가 발생한 다양한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는 치료제로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레고켐바이오 대표는 또한 국내에서 최초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신약으로 항생제 '팩티브'의 초기 후보물질 개발부터 허가 및 항바이러스제의 글로벌 기술이전을 경험했고 또한 현재 슈퍼박테리아를 비롯하여 감염성 질환치료제 분야의 국내 권위자이기도 합니다.
레고켐바이오 주가의 이슈는 CEVI융합연구단
앞서 봤듯이 레고켐바이오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운영하는 한국화학연구원 신종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CEVI융합연구단(정부출연 8개 연구기관 참여)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 점을 주의깊게 눈여겨봐야 할 것입니다.
글을 마치면서
http://blothumb.com/tag/바이오 - 현재로써는 바이오주 테마가 높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더 많은 바이오주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바이오주 태그 영역을 필히 확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분석 20.6 (0) | 2020.06.12 |
---|---|
현대약품 주가 전망 (0) | 2020.06.11 |
부광약품 주가 분석 20.6 (0) | 2020.06.10 |
호텔신라 주가 전망 (0) | 2020.06.09 |
셀트리온 주가 분석 20.6 (0) | 2020.06.09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