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제주반도체라는 기업의 리포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아보면서 주가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제주반도체는 반도체, 정보통신에 관한 제품을 설계, 제조 및 이를 판매하는 사업 등을 운영할 목적으로 2000년 4월에 설립됐습니다.
휴대폰 등 모바일 응용기기에 적용되는 메모리 반도체를 개발, 제조하여 이를 판매하는 사업을 운영하며 자체적으로 제조 생산라인을 보유하지 않고 전문 파운드리회사에 위탁 생산합니다. 아래는 제주반도체의 재무분석 및 투자지표 리포트입니다.
제주반도체의 최근 동향에 대해서
국내 팹리스 25개 상장사 가운데 약 70%가 올 상반기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면서 중국 업체 성장과 반도체 원칩화에 따른 수요 부진, 인력 부족으로 업계 분위기가 침체됐고 코로나19로 인해 실적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매출 성장세를 기록한 기업도 있는데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호재로 D램과 플래시 판매량이 오른 제주반도체는 실적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국내의 펩리스 업체들은 대기업에 자신들이 직접 설계한 칩을 공급하면서 사업을 운영했지만 각각의 칩 기능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에 집약되는 '원칩화'와 고객사에서 직접 칩을 개발하는 내재화에 인력난까지 더해져 업계 매출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사물인터넷(IoT), 자동차, 스마트폰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을 시도 중이지만, 중국 시스템반도체 업계의 가파른 성장과 단가 경쟁으로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합니다.
제주반도체 주가 급등의 원인
오늘 제주반도체의 상승세는 삼성전자의 주가 급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삼성전자는 이달 들어 11.85% 오르면서 코스피 시총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수주 등 잇따른 호재에 실적 전망이 상향 조정됐으며 미국 그래픽카드 업체인 엔비디아의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와 퀄컴의 5세대 이동통신(5G) 칩을 수주한 했다는 사실 또한 전했습니다.
또한 중국의 화웨이가 미국 정부의 제재로 오늘부터 반도체 부품을 새로 사지 못하게 되며 삼성전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아래는 제주반도체의 월봉, 주봉, 일봉, 60분봉 주가 그래프이며 자료 분석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등락에 따라 값의 변동 상황을 담은 2020년 1월부터의 60분봉 심층자료도 담았습니다.
팹리스 업계의 향후 전망에 대해서
팹리스 업계 측에서는 코로나19로 해외 출장이 제한되고 가장 수요가 많은 중국 시장 공략에 어려움이 있어 매출이 20~30% 정도 감소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팹리스 생태계 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요기업 연계, 인력난 해소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제주반도체 주가의 키포인트는 삼성전자
앞서 봤듯이 중국의 화웨이가 미국 정부의 제재로 오늘부터 반도체 부품을 새로 사지 못하게 되며 삼성전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글을 마치면서
더 많은 전자주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전자주 태그 영역을 확인해주시길 바라며 언제나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피엠테크 주가 전망 (0) | 2020.09.16 |
---|---|
한국금융지주 주가 전망 (0) | 2020.09.16 |
셀트리온 제약 주가 (0) | 2020.09.15 |
유니크 주가 전망 (0) | 2020.09.14 |
KB금융 주가 전망 (0) | 2020.09.14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