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기술 전망 및 분석 #1 (20.4Q)
이번 글에서는 하나기술이라는 기업의 리포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아보면서 주가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하나기술은 2차전지 공정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배터리 3사인 삼성SDI, LG전자, SK이노베이션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고 해외 고객사로는 일본의 무라타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0년 4월 전세계 최초로 차세대 전지인 반고체 전지의 조립 및 화성 공정 라인을 턴키 수주했으며 재생배터리 장비 사업과 디스플레이 가공 장비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 중입니다. 아래는 하나기술의 재무분석 및 투자지표 리포트입니다.
하나기술의 최근 연간 포괄손익계산서입니다. 매출액, 영업익, 순이익과 관련된 자료입니다. 위 지표에서 중요하게 볼 지표는 ▲당기순이익입니다. 영업이익에서 이런 비용과 세금을 납부하고 나면 회사가 실제로 순수하게 남긴 이익이 당기순이익입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을 산출하는 기준은 언제든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셔야 합니다.
하나기술의 최근 연간 수익성 관련 지표입니다. 수익성지표와 투자수익률에 대한 자료입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이 자본을 이용해 얼마의 순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A(자산 수익률)은 총자본 대비 얼마의 순이익을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IC(투하자본수익률)은 순수하게 기업 본연의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성을 측정하는 지표이며 기업 운영을 봄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입니다.
하나기술의 최근 연간 성장성 관련 지표입니다. 성장성지표에 대한 자료입니다. ▲총자산은 기업의 규모를 보여줍니다. ▲유동자산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 매출채권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자산을 뜻합니다. ▲유형자산은 토지, 건물과 같은 비유동자산 중에서 기업의 영업활동과정에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는 자산을 뜻합니다. ▲자기자본증가율은 기업 소유의 자본이 증가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나기술의 최근 연간 안정성 관련 지표입니다. 부채에 대한 자료입니다. ▲유동부채란 만기가 1년 이내 도래하는 부채를 말하며 비유동부채는 반대로 1년 이후에 도래하는 부채를 말합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이 수입에서 얼마를 이자비용으로 쓰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나기술의 최근 연간 활동성 관련 지표입니다. 회전율에 대한 자료입니다. 회전율은 자신의 자본과 매상고 또는 생산고와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서 1년간의 자기 자본 회전율은 자기 자본에서 연간 매상고를 뺀 것입니다.
하나기술의 최근 동향에 대해서
국내 중견 배터리 장비 업체 하나기술이 삼성SDI 초소형 배터리 생산용 핵심장비를 공급했으며 그동안 독일 바르타 등 수입에 의존하던 초소형 배터리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초소형 배터리는 애플 에어팟, 삼성전자 갤럭시 버즈 등 무선이어폰 시장 활성화와 함께 가파른 성장이 예상되며 제품 교체 주기가 빨라 일반 원통형 배터리보다 가격이 20~30% 가량 비싸 수익성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하나기술은 삼성SDI 천안 사업장에 코인셀(단추형) 배터리 생산용 장비를 공급했고 하나기술은 이 젤리롤을 납작한 모양의 원통형 캔(CAN)에 집어넣고 외형을 만드는 조립 공정 장비 대상이며 용접기, 캔 포장기 등을 담당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삼성SDI가 생산하는 코인셀 배터리는 배터리 용량과 크기 따라 85mAh, 60mAh 두 가지 모델로 나뉘며 각각 생산 라인이 따로 마련됐고 하나기술은 두 라인에 모두 장비를 공급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나기술 투자에 앞서 본 기업과 관련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는 것은 중요할 것입니다.
삼성SDI과 하나기술의 협업이 눈에 띄는 상황
올해 삼성SDI는 코인셀과 같은 초소형 배터리 수요를 전년 동기 대비 두 배로 예상했고 내년은 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매출 비중은 크지 않으나 이익 측면에선 고부가 제품이고 수익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갤럭시 버즈 시리즈에 독일 바르타, 중국 EVE에너지 제품을 수입해 썼던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입장에선 수입산 대체 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올해 2월 독일 바르타는 삼성전자 미국법인을 대상으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하는 등 코인셀 배터리 조달에 민감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측에 따르면 올해 코인셀 시장 비중은 57%로 핀셀(18%)을 압도할 전망이며 지난해는 핀셀이 48%, 코인셀이 25%, 폴리머가 27% 비중을 기록했습니다.
아래는 하나기술의 상장 이후 주가 그래프이며 자료 분석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등락에 따라 값의 변동 상황을 담은 심층자료도 담았습니다.
상장 이후부터 지금까지 하나기술 5분봉 차트입니다. 아래는 심층자료로 양옆으로 넘기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의 단락에서는 하나기술 주가에 대한 키포인트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기술 주가의 키포인트는 코인셀
앞서 봤듯이 삼성SDI는 코인셀과 같은 초소형 배터리 수요를 전년 동기 대비 두 배로 예상했고 내년은 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점을 중요하게 눈여겨봐야 할 것입니다.
하나기술 Ch01 주가 전망 및 분석글을 갈무리하면서 여러분의 성투를 기원합니다.
글을 마치면서
더 많은 기계주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기계주 태그 영역을 확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사이언스 주가 전망 (0) | 2020.11.30 |
---|---|
원익IPS 주가 전망 (0) | 2020.11.29 |
두산솔루스 주가 전망 (0) | 2020.11.27 |
GH신소재 주가 전망 (0) | 2020.11.26 |
우정바이오 주가 전망 (0) | 2020.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