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한국유니온제약이라는 기업의 리포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아보면서 주가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한국유니온제약은 전문의약품을 제조하며 고형제, 액상주사제, 세파분말주사제의 GMP 제형을 갖추었으며 항생제, 근골격계, 소화기계류 품목 등이 주력 제품입니다.
완제의약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타사와 달리 다양한 규격의 앰플주사제와 세파분말주사제 설비시설을 별도로 갖추고 있어 주사제 품목에 있어서 경쟁우위를 보유합니다. 아래는 한국유니온제약의 재무분석 및 투자지표 리포트입니다.
한국유니온제약 최근 동향에 대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치료 과정에 있어서 싱가포르 환자의 혈장을 적극 활용한 항체치료제를 투약받았다는 소식이 주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외신은 '아시아 과학 매거진' 보도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에 투약한 두 개의 항체치료제 중 하나는 싱가포르 환자 세 명의 혈액 샘플을 활용한 REGN-COV2라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월터 리드 군 병원에 입원하기 전인 10월 2일 "많은 양"의 REGN-COV2를 투약받았다고 아시아 과학 매거진은 전했으며 미국 제약회사 리제네론이 개발 중인 REGN-COV2는 항체치료제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덱사메타손을 처방받았으며 대통령 의료팀의 브라이언 가리발디 박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산소 포화도가 떨어져 처음으로 덱사메타손을 처방했다며 당분간 이 처방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혈장중량제 원료 국산화 성공한 한국유니온제약
앞서 한국유니온제약은 혈장증량제 원료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혈장치료제 뿐 아니라 향후 항바이러스제 및 면역단백질 분야에도 자체 보유 기술을 응용 상용화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한국유니온제약은 또 코로나19 치료제로 부각된 덱사메타손 앰플 주사제의 생산을 완료하고 러시아, 중앙아시아 및 유럽지역 국가를 전문적으로 수출하는 의약품에이전트인 매디코뷰티스와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한국유니온제약은 과거 유니덱사주라는 이름으로 덱사메타손 관련해서 약품을 생산했으나 생산을 중단한 바 있지만 9월초부터 덱사메타손 앰플 주사제인 '유니덱사주' 생산 준비를 했으며 9월 24일 생산을 완료했습니다.
아래는 한국유니온제약의 월봉, 주봉, 일봉, 60분봉 주가 그래프이며 자료 분석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등락에 따라 값의 변동 상황을 담은 2020년 1월부터의 60분봉 심층자료도 담았습니다.
한국유니온제약의 매출 상황에 대해서
한국유니온제약의 2019년 매출액은 513억으로 전년대비 -6.2%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8억으로 전년대비 -89.8% 하락했지만 앞으로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한국유니온제약 주가의 키포인트는 혈장중량제 성공
혈장증량제 원료 국산화에 성공한 한국유니온제약은 혈장치료제 뿐 아니라 향후 항바이러스제 및 면역단백질 분야에도 자체 보유 기술을 응용 상용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라고 합니다.
글을 마치면서
앞으로도 더 많은 바이오주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바이오주 태그 영역을 확인해주시길 바라며 언제나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코넥 주가 전망 (1) | 2020.10.18 |
---|---|
KEC 주가 전망 (0) | 2020.10.17 |
OCI 주가 전망 (0) | 2020.10.11 |
텔레칩스 주가 전망 (0) | 2020.10.09 |
라닉스 주가 전망 (0) | 2020.10.05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